본문 바로가기

요리

풀어지지않는 탱글탱글 순두부찌개 만들기~

반응형

엊그제 주말에 모처럼 순두부찌개를 끓여보았는데 가족들이 너무 잘 먹어서

다시 한번 끓여보기로 했다.

 

순두부는 잘 아시다시피 두부가 되기 전 바로 전 단계이다.

가마솥에서 끓인 순두부를 베보자기를 깔은 나무틀에 넣고 무거운 맷돌을

올려서 물을 짜내면 조금 단단해지는 두부가 되는 것이다.

 

그래서 두부가 되기 전 모습인 순두부는 콩의 영양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다.

단백질은 물론이고 사포닌이 풍부하며, 소화도 잘되고, 칼로리도 낮은

1석 3조의 식재료인 것이다.

그래도 많이 먹으면 살찜 주의~^^

 

그뿐이랴, 두부를 만들고 남은 수술로 머리를 감으면 머릿결이 좋아지고,

콩물을 짜고 난 남은 콩비지는 따듯한 아랫목에 발효시키면 맛있는 콩비지가 되는 것이다.,

거의 청국장과 같은 이치~

풀어지지 않는 탱글탱글 순두부찌개 만들기

만든 날: 2021년 6월 14일

 

재료 준비

순두부 1 봉지

돼지고기 100g

마른 바지락 조갯살 10개

 

**찌개를 준비하기 전에 순두부 봉지를 잘라서 채에 올려 물기를 빼준다.

그러면 순두부가 풀어지지 않고 탱글탱글해져서 더 맛나게 먹을 수 있다.

물이 한 컵 정도 나옴**

 

1. 우묵한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, 대파를 볶아 파 기름을 낸다.

2. 여기에 대패삼겹살 100g과 고춧가루 1 수저를 넣고 볶아준다.

3. 어느 정도 익으면 마른 바지락 조갯살을 물에 헹구어서 같이 볶아준다.

4. 여기에 멸치육수 두 컵을 넣고 2~3분 끓인다.

멸치육수가 없으면 찬물로 대신하면 된다.

5. 4번에 물이 빠진 순두부와 다진 마늘 1 수저를 넣고 2~3분 중 약불에서 끓여준다.

순두부는 일부러 깨트리지 않으면 동그란 상태가 유지된다.

5. 마지막에 소금으로 간을 하고, 굴소스를 반수저 정도 넣어주면 

맛있는 순두부찌개가 된다. 요정도 양이면 국대접으로 두 개 정도 나온다.

 

그저께 끓인 순찌도 한 번에 다 먹었는데 이번에도 맛있다고 싹 해치웠다.

매운 찌개를 못 먹는 남편이지만 순두부찌개는 매워야 더 맛있기 때문에 아무 말하지 않고,

맛있게 먹어주는 남편과 아들이 고마울 따름~

식재료 가격도 저렴하고, 조리과정도 쉽고, 영양도 풍부한 순찌 찌개~

오늘 저녁 메뉴로 권해봅니다.

 

반응형